산업안전보건교육 지원사업
이 사업은 의무교육 대상 사업주와 근로자가 법정 안전보건교육을 효과적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교육비를 지원하거나 교육기회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제도다.특히 50인 미만의 중소기업, 건설현장, 일용직, 비정규직 근로자 등 취약계층에 집중되어 있는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 대표적인 공공안전 정책이다. 1. 산업안전보건교육 지원사업의 주요 대상과 요건교육 지원 대상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건설업, 제조업, 물류업 등 고위험 업종일용직, 파견직, 비정규직 근로자외국인 근로자, 청소년 근로자 등 취약계층안전관리자 또는 보건관리자 배치의무 미해당 사업장이 제도는 특히 안전관리자 배치가 의무가 아닌 영세사업장에게 실질적 교육기회를 제공함으로써사고 예방 사각지대를 해소하려는 구조로 운영된다.또한, 사업주는 산..
2025. 6. 29.
중소기업 직업훈련 컨소시엄이란? 2025년 고용노동부 핵심 훈련지원 정책 총정리
중소기업은 전체 고용의 80% 이상을 차지하지만, 인력 교육에 투자할 수 있는 여력은 제한적이다.대기업에 비해 훈련시설, 전문 강사, 교육 콘텐츠가 부족하고, 대부분의 인력이 업무에 바로 투입되기 때문에 사내 교육조차 여의치 않은 경우가 많다.이런 중소기업의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중소기업 직업훈련 컨소시엄’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은 중소기업들이 독자적으로 하기 어려운 훈련을 공동훈련센터를 중심으로 함께 추진하는 구조로,대학, 공공기관, 대기업, 산업별 협회 등 다양한 주체가 교육 인프라를 제공하고,중소기업은 이를 통해 직무능력 향상, 생산성 강화, 고용 유지에 필요한 훈련을 무상 또는 저비용으로 수강할 수 있다.이 제도는 단순한 교육 지원을 넘어서, 중소기업과 훈련기관이 장기적 ..
2025. 6. 23.